728x90
반응형

API 4

4주차 - 앱과 서버

2021.10.21 - [앱개발] - 3주차 - 앱다운 앱기능 3주차 - 앱다운 앱기능 2021.10.19 - [앱개발] - 3주차-앱 필수 기초 지식 3주차-앱 필수 기초 지식 지난 시간까지 자바스크립트 기초체력을 다지고 JSX로 화면을 그리는 방법 까지 배워봤습니다. 오늘 배울 내용이 두 가 ran-318.tistory.com [4주차 수업 목표] 앱과 서버에 대한 이해 서버리스에 대한 이해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한 서버 지금까지 화면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배워봤다면, 4주차에선 사용자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데이터와 사용자들이 앱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관리 및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 1) 앱과 서버: 데이터가 담겨있는 곳, 즉 서버와 앱과의 관계를 살펴봅니다. 2) 서버리스: 서버를 직접 ..

앱개발 2021.10.28

웹개발플러스-나만의단어장(2)

개념정리도 했으니 프로젝트 시-작!@ 플라스크로 멀티페이지 사이트 만들기 - 기초 1) 페이지 간 이동하기 Q. 메인 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하면 상세 페이지로 가고, 상세 페이지에서 다시 메인으로 갈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준비 : 파이참 File > New project >Location 설정 >Create >this window클릭(선택) 기본 준비 늘 그렇듯, 폴더생성(static, templates), 파일생성(templates- index.html , detail.html, prohect02 -app.py) 패키지설치 flask / pymongo / requests 패키지 설치! app.py 시작 코드랑 각 html파일의 body에 으로 메인페이지, 상세페이지 글자만 넣어주니 아래처..

웹개발 2021.06.01

웹개발플러스-나만의 단어장(1)

이번주차 프로젝트는 두 페이지로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만들어 본다고 한다. 씐난다 'ㅅ'// 내가 필요로 했던 스킬이라 이거쥐~~!!@@ 먼저 프로젝트 시작 전 개념 정리부터@! 정적VS동적 , API키에 대해서 사전 체크! 정적웹페이지 VS 동적웹페이지 정적 웹페이지(static web page)는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HTML+CSS 파일 그대로 보여주는 것! 반면 동적 웹페이지(dynamic web page)는 상황에 따라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HTML에 데이터 추가/가공을 해서 보여주는 방법 정적 웹페이지는 추가적인 통신&계산이 필요 없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서버에 부담이 적은 반면, 추가/수정/삭제 등 내용 변경이 필요할 때 HTML 자체를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다. 동적 웹페이..

웹개발 2021.06.01

오늘의 공부 flask (feat.framework)

오늘은 HTML과 mongoDB까지 연동해서 서버를 만들어 본다. 우리의 컴퓨터는 한 대 이기 때문에 같은 컴퓨터에다 서버도 만들고 요청도 할 것..! 클라이언트 = 서버 가 되는 것 >> 로컬 개발환경 폴더 4개를 만든다 (prac/alonememo/bookreview/moviestar) 파이참 > newproject>prac(vene필수)에 app.py 파일을 만들어준다. *서버를 돌아가게 만드는 파일 이름은 app.py 로 통일한다 서버의 프레임워크라 하는 flask패키지를 설치한다 *Flask 프레임워크: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 모음이다 *서버를 구동하려면 필요한 복잡한 일들을 쉽게 가져다 쓰면 편하다 :) 프레임워크는 남이짜둔 규칙이나 틀 안에서 코딩하니 편하고 라이브러리는 내가 내맘대로..

웹개발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