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QL
SQLD 기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AN318
2021. 7. 11. 17:09
728x90
반응형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차이점
- 데이터를 어더한 형태의 자료구조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트리구조 형태로 데이터 저장, 1:N관계로 부모 자식관계 표현 쉬움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오너(Owner)와 멤버(Member)형태로 데이터 저장, 1:N관계와 함께 M:N 표현도 가능
-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릴레이션에 데이터 저장, 릴레이션을 사용해서 집합 연산과 관계 연산 가능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계층형/ 네트워크형 / 관계형 등을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DBMS (Oracle, MS-SQL, MySQL, Sybase)
- 데이터를 어더한 형태의 자료구조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차이점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집합연산과 관계 연산
-
집합 연산 설명 합집합(Union)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하는 것, 중복 행 1번만 조회 차집합(Diffference) 본래 릴레이션에 존재하고 다른 릴레이션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조회 교집합(Intersection) 두개의 릴레이션 간 공통된 것을 조회 곱집합(Cartesian product) 각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조합하여 연산 -
관계 연산 설명 선택 연산(Selection) 릴레이션에 조건에 맞는 행(튜플)만 조회 투영 연산(Projection) 릴레이션에 조건에 맞는 속성만을 조회 결합 연산(Join) 여러 릴레이션의 공통 속성을 사용해서 새로운 릴레이션 만듬 나누기 연산(Division) 기준 릴레이션에서 나누는 릴레이션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행(튜플)을 추출하고 나누는 릴레이션의 속성르 삭제한 후 중복 행을 제거하는 연산
-
- 테이블의 구조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릴레이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해서 집합연산 및 관계연산을 지원하며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 릴레이션은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테이블로 만들어진다.
-
사원번호 이름 나이 급여 부서코드 1000 홍길동 20 10000 01 1001 네즈코 21 20000 02 1002 우즈키 22 30000 03 - 기본키는 유일성/ 최소성/ Not NULL/ 대표성 을 만족해야 한다. - 사원번호
- 테이블은 행과 컬럼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되는 값으로 튜플이라고도 한다.
- 컬럼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로 속성이라고도 한다.
- 외래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참조(조인)하는 컬럼
외래키는 관계 연산 중에서 결합 연산(Join)을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728x90
반응형